순비 노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비 노씨는 교하 노씨 출신으로, 고려 공양왕의 왕비이다. 1389년 공양왕이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었으며, 의덕부가 설치되었다. 슬하에 왕석, 숙녕, 정신, 경화궁주를 두었다. 공양왕이 폐위된 후 원주로 유배되었고, 1394년 공양왕이 사사될 때 함께 죽음을 맞이했다. 그녀의 능은 공양왕릉과 함께 경기도 원당과 강원도 삼척에 있다. 드라마 《개국》, 《추동궁 마마》, 《용의 눈물》 등에서 배우들이 순비 노씨를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4년 사망 - 존 호크우드
존 호크우드는 1323년경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백년 전쟁 참전 후 이탈리아에서 용병으로 활동하며 백색 용병대를 이끌고 카시나 전투 등에서 승리했으며, 1394년 피렌체에서 사망하였다. - 1394년 사망 - 쩐 예종 (9대)
쩐 예종은 쩐 왕조의 제9대 황제로, 양일례를 폐위시키고 즉위하여 쩐 왕조 질서 회복을 시도했으나, 잦은 외침과 신하들의 배반, 호꾸이리의 득세로 쇠퇴를 가속화시키고 태상황으로 실권을 장악하며 쩐 왕조 멸망의 씨앗을 뿌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 교하 노씨 - 노영민
노영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7·18·19대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의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 및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여러 논란에 연루되었다. - 교하 노씨 - 노재원
노재원은 1954년 고등고시 합격 후 외무부에서 다양한 요직을 거쳐 주영국 참사관, 주이란 및 주쿠웨이트 대사를 지냈고,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 경력이 있지만, 외무부 차관, 주캐나다 대사, 초대 주중국 대사를 역임하며 한중 관계 발전에 기여한 외교관이다. - 고려의 왕비 - 희비 윤씨
희비 윤씨는 고려 충혜왕의 후궁이자 충정왕의 생모로, 아들 충정왕이 왕위에 오르면서 외척인 민씨 가문이 권력을 얻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조선 왕실에 영향을 미친 파평 윤씨 가문 출신이다. - 고려의 왕비 - 순화원비
고려 충선왕의 비인 순화원비는 남양 홍씨로 남양부원군 홍규의 딸이자 공원왕후의 언니이며 자녀는 없었고, 그녀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고려사》에 남아있지 않다.
순비 노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위 | 고려의 왕비 |
재위 기간 | 1389년 - 1392년 |
배우자 | 공양왕 |
아버지 | 노진, 창성군 |
어머니 | 명의비 홍씨 |
자녀 | 정성군, 숙녕궁주, 정신궁주, 경화궁주 |
출생 | 1343년 |
출생지 | 경상도 경산 |
사망 | 1394년 (51세) |
가문 | 교하 노씨 (본가) 개성 왕씨 (혼인) |
생애 | |
왕비 책봉 | 1389년 |
공양왕과의 혼인 | 1363년 |
기타 | |
전임 | 근비 이씨 |
후임 | 왕조 폐지 (신덕왕후 as the first 왕비 of 조선) |
2. 생애
순비 노씨는 창성군 노진의 딸로, 본관은 교하이며 경산 출신이다.[2] 1389년 남편 정창부원군이 이성계 일파에 의해 왕(공양왕)으로 추대되자 왕비가 되었다. 공양왕은 노씨를 위해 의덕부를 설치하고 관속을 두었다.[3] 슬하에 세자 왕석과 숙녕궁주, 정신궁주, 경화궁주를 두었다.
이성계 일파에 의해 폐위된 뒤 공양왕과 함께 원주로 유배되었고, 남편을 따라 고성, 삼척 등지로 유배를 다녔다.[3] 1394년 공양왕이 사약을 받을 때 함께 사사되었다.[3] 남편과 함께 물에 투신자살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4] 순비 노씨의 능은 공양왕릉과 함께 경기도 원당과 강원도 삼척에 있다.[3]
순비 노씨의 가족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
아버지 | 노진 (; 1304–1376) |
어머니 | 명의비 남양 홍씨 (; 1305 – ?) |
언니 | 교하 노씨 (; 1325 – ?) |
형 | 노선 (; 1327 – ?) |
형 | 노숙 (; 1329 – ?) |
형 | 노내 (; 1331 – ?) |
남편 | 공양왕(; 1345년 3월 9일 – 1394년 5월 17일) |
아들 | 왕석 (; 1362–1394) |
딸 | 숙녕궁주 (; 1364 – ?) |
딸 | 정신궁주 (; 1366–1421) |
딸 | 경화궁주 (; 1368 – ?) |
2. 1. 왕비 책봉
교하를 본관으로 하는 창성군 노진의 딸이며, 경산 출신이다.[2] 1389년 남편 정창부원군이 이성계 일파에 의해 왕(공양왕)으로 추대되자 왕비가 되었다. 공양왕은 노씨를 위해 의덕부를 설치하고 관속을 두었다.[3]2. 2. 고려 멸망과 유배
1389년 남편 정창부원군(공양왕)이 이성계 일파에 의해 왕(공양왕)으로 추대되자 왕비가 되었다. 공양왕은 노씨를 위해 의덕부를 설치하고 관속을 두었다.[3] 슬하에 세자 왕석과 숙녕, 정신, 경화궁주를 두었다.이성계 일파에 의해 폐위된 뒤 공양왕과 함께 원주로 유배되었고, 남편을 따라 고성, 삼척 등지로 유배를 다녔다.[3] 1394년 공양왕이 사약을 받을 때 함께 사사되었다.[3] 남편과 함께 물에 투신자살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4]
2. 3. 최후
교하를 본관으로 하는 창성군 노진의 딸이며, 경산 출신이다.[2] 1389년 남편 정창부원군이 이성계 일파에 의해 왕(공양왕)으로 추대되자 왕비가 되었다. 공양왕은 노씨를 위해 의덕부를 설치하고 관속을 두었다.[3] 1394년 공양왕이 사약을 받을 때 함께 사사되었다.[3] 남편과 함께 물에 투신자살했다는 이야기도 있다.[4] 순비 노씨의 능은 공양왕릉과 함께 경기도 원당과 강원도 삼척에 있다.[3]3. 가계
관계 | 이름 | 출생-사망 |
---|---|---|
조부 | 노책(盧頙) | ? ~ ? |
조모 | 경녕옹주 | ? ~ ? |
아버지 | 노진(盧稹) | ? ~ 1376년 |
어머니 | 명의비 홍씨(明懿妃 洪氏) | ? ~ ? |
남편 | 공양왕 | 1345년 ~ 1394년 |
아들 | 정성군 | ? ~ 1394년 |
딸 | 숙녕궁주 | ? ~ ? |
딸 | 정신궁주 | ? ~ 1421년 |
딸 | 경화궁주 | ? ~ ? |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10-13
[2]
뉴스
경산에 '고려 왕비족' 유적지 있다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7-10-01
[3]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개정증보판)
웅진닷컴
2004
[4]
뉴스
공양왕릉과 광중 혈토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7-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